2023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2023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홈페이지 바로가기

2023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등록 페이지 바로가기

개설 취지

한국언어학회는 2019년부터 ‘여름 언어학 학교(LSK Summer Linguistic School)’를 개최하여 빠르고 다양 하게 변화하는 최신 언어학 이론과 방법론을 언어학 연구자들과 학문후속세대에게 소개하고, 언어학의 지속 가능한 발전과 저변 확대를 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에 (8.19 ~ 8.21) 개최된 언어학 학교는 9개의 언 어학 이론 및 응용 분야의 집중강좌와 3회의 특강으로 진행되었습니다. 2021년-2022년 언어학 학교는 코로 나 19로 인해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전환하여 3일 간 6개의 언어학 핵심 이론 및 응용 분야의 집중강좌를 개설하여 성공적으로 진행되었습니다. 한국언어학회는 언어학 학교를 지속적으로 개최하여 언어학 연구자 들이 첨단 융합 학문으로 발전하고 있는 언어학의 다양한 관점과 연구 방법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기회를 확대해 나갈 것입니다.

2022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2022년에 이어 올해 언어학 학교는 글로벌 명품 핸드백 제조 기업인 ‘시몬느 액세서리컬렉션 (이하 시몬 느, Simone)’의 후원으로 비대면 온라인 방식으로 개최됩니다. ‘언어의 이론적 연구와 그 응용 분야의 발 전에 기여한다’는 학회의 목적에 부응하는 연구를 활성화하고, 인간 언어에 대한 과학적이고 창의적인 연 구 수행 능력을 함양하고자 이번 언어학 학교는 3일 간 (8.7 ~ 8.9) 일반 교과과정에서 접하기 어려운 총 4개의 언어학 이론, 응용 분야 및 방법론에 관한 집중강좌로 구성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언어학의 최근 쟁점과 방법론을 구체적으로 접해볼 좋은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합니다. 언어학 학교 개최를 이어갈 수 있도록 후원해 주신 ‘시몬느’의 박은관 회장님, 더운 여름 강의를 맡아 수고해 주실 다섯 분의 선생님들, 그리고 준비와 홍보에 참여하고 도와주신 모든 분들께 깊은 감사의 뜻을 전하며, 회원 여러분들의 적극적 인 관심과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공동 조직위원장 박동우·신효필 배상

수강신청 안내:

  1. 1단계: 온라인 수강 신청서 작성 및 제출 (신청 마감: 2023. 7. 21 (금)):
    온라인 수강신청 링크: https://forms.gle/mYjEb2uaiWjdzKCh9
  2. 2단계: 학회 가입 및 연회비 납부
    • 정회원: 입회비 25,000원, 연회비 40,000원
    • 준회원(학생신분): 연회비 20,000원
    • 납부 계좌: 우리은행 1002-363-787147 (예금주: 이주원)
    • 납부 마감: 2023. 7. 21 (금)
  3. 3단계: 수강 신청을 완료한 회원님들께 수강 안내 이메일 발송
    • 강의 자료는 추후 제공될 예정입니다.
    • 수료증 발급: 신청한 강좌를 모두 출석한 회원이 요청할 경우 강좌 종료 후 수료증을 발급해 드립니다.

강좌 소개

  • 전산언어학
    • 시간: 1교시 (08:30-10:30) - 2교시 (11:00-13:00)
    • 강사: 신효필·이상아 (서울대 언어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에서는 컴퓨터언어학 및 자연언어처리의 중심 개념인 언어 모델링(language modeling)을 소개한다. 언어 모델링은 대규모 말뭉치에서 개별 단어들의 인접 단어들과의 분포적 특성을 기반으로 하여 단어의 의미, 단어 간의 관계 등을 포함한 다양한 층위의 지식을 포착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언어 지식은 n-gram, 단어 임베딩(word embedding), 문맥 정보가 반영된 임베딩(문장 임베딩) 등을 통해 자질(feature)의 형태로 인코딩된다. 강의는 크게 세 파트로 나누어 (1) 확률 기반의 언어 모델링 (2) 인공신경망 기반의 언어 모델링 (3) 트랜스포머 기반의 언어 모델링을 다루며, 다음 단어나 빈 곳의 단어를 예측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언어 모델링이 각각의 방법에서 어떤 특징이 있는지 그리고 어떻게 언어적 특징이 학습이 되는지 논의하고, 이를 언어학 연구에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살펴보도록 한다. 회차별 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1회차: 확률 기반 언어 모델링 1: n-gram
      • 2회차: 확률 기반 언어 모델링 2: entropy, cross-entropy
      • 3회차: 벡터 의미론과 단어 임베딩: Word2Vec
      • 4회차: 인공신경망 기반 언어 모델링: RNN, LSTM, Encoder-Decoder
      • 5회차: 트랜스포머 기반 언어 모델링 1: BERT, GPT
      • 6회차: 트랜스포머 기반 언어 모델링 2: 언어학 연구에 활용
  • 통섭: 언어학, 물리학, 그리고 공학
    • 시간: 2교시 (11:00-13:00)
    • 강사: 남호성 (고려대 영어영문학과)
    • 강좌 소개: 자연의 일부로서 존재하는 인간의 언어를 연구함에 있어 자연의 법칙을 탐구하는 물리학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인 것처럼 보인다. 이러한 잠재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물리학과 언어학 사이의 거리는 상당히 크게 느껴져왔으나, C.P. Snow는 저서 "The Two Cultures"에서 자연과학과 인문학의 이해와 소통이 문명 발전에 꼭 필요하다고 강조한 바 있다. 본 강좌는 이 같은 통섭적 관점에서 뉴턴 역학의 미분방정식을 통해 조음기관의 움직임을, 열역학을 통해 언어의 확률적이고 통계적인 측면을, 그리고 양자역학을 통해 빛과 소리의 유사성을 이해하는 등의 통합적 접근(E. O. Wilson의 "Consilience")을 제시하고자 한다. 나아가 언어를 처리함에 있어서 공학적 접근, 즉, 디지털 신호처리 및 인공지능 등이 어떻게 물리학과 언어학을 매개하고 있는지 탐색한다. 구체적인 강의 주제는 다음과 같다.
      • 1. 고전역학과 언어: 모든 움직임의 원리가 되는 뉴튼의 운동방정식(미분방정식)을 소개하고, 미분방 정식의 파라미터가 어떻게 운동의 패턴을 결정짓는지 점화식을 통해 이해한다. 수강생들은 운동으로서의 조음이 미분방정식 그 자체이며, 결국 음운론의 음소가 된다는 것과 볼츠만의 열역학 제 2 법칙으로 단어의 연쇄인 언어 행위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2. 양자역학 속의 빛과 소리: 파동함수를 통하여 빛과 소리의 원리에 대해 이해한다. 이를 위해 수소의 선스펙트럼과 보어의 원자모델을 통하여 양자역학의 기초를 소개하고, 보어의 원자모델을 기반으로 전자의 정상파와 소리의 정상파 (배음과 포먼트)의 유사성을 알아보며, 하이젠베르크의 불확정성을 음성의 스펙스럼 속에서 찾아본다.
      • 3. 디지털 신호처리와 인공지능: 스펙트로그램의 수학적 원리인 푸리에 변환을 이해한다. 이를 위해 먼저 신호처리의 핵심인 디지털 필터 (FIR, IIR)를 소개하고, 강도와 피치 알고리즘인 RMS와 auto correlation을 각각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딥러닝의 원리를 소개하고, 이를 아인슈타인의 장방정식 속 텐서 개념과 연결해 본다.
  • 빅데이터 의미화용론
    • 시간: 3교시 (14:00-16:00)
    • 강사: 윤수원 (서울시립대 영어영문학과)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의미-화용적 현상의 빅데이터 분석에 관심 있는 인문학도를 위한 입문 강의이다. 빅데이터 분석 경험이 없는 참가자들에게 어떻게 특정 주제의 언어학 연구에서 다양한 데이터 분석 툴이 이용될 수 있는지 기초부터 소개하는 것이 강좌의 목적이다. 본 강좌에서는 1) 비정형 텍스트데이터 분석을 위한 기본 언어학개념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2) 의미 화용론 연구의 이론적인 개념과 논의 그리고 3) 다양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과 시각화 툴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활용 예시를 소개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언어의 미묘한 뉘앙스와 용법 차이를 계량화하기 위한 빅데이터 분석능력과 융합적인 연구능력을 함양할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회차별로 다룰 주제는 다음과 같다.
      • 1회: 빅데이터와 언어학개념: POS tagging, lemma, n-gram, collocation, register, spoken/written data
      • 2회: 의미화용연구: 감성어 이론 vs. 빅데이터분석: Corpus, Big Data Visualization, Semantic Network
      • 3회: 빅데이터 통계분석: 문학작품과 언어실험 통계분석: Linear regressions using R
  • 언어와 통계
    • 시간: 3교시 (14:00-16:00) - 4교시 (16:30-18:30)
    • 강사: 홍정하 (서강대 국제지역문화원)
    • 강좌 소개: 본 강좌는 언어 연구를 위한 기초 통계 개념 및 기법, 그리고 몇 가지 중급 통계 기법을 소개하는 한편, 실험언어학 및 코퍼스언어학 예제를 중심으로 프로그래밍 언어 R을 이용한 분석 방법을 소개한다. 1일차(1~2회차)는 통계 및 R 입문자를 위한 강의로 R 기본 사용법과 기초 통계 개념 소개를 목표로 하며, 2일차(3~4회차)는 기초 통계 기법을, 3일차(5~6회차)는 실험언어학 및 코퍼스언어학에서 활용할 수 있는 몇 가지 중급 통계 기법을 다룬다.
      • 1회차: R 기본 사용법과 기술 통계
      • 2회차: 가설 검정과 효과 크기 (effect size)
      • 3회차: t-test, One-sample ANOVA
      • 4회차: 상관분석, Chi-squared test
      • 5회차: Two-sample ANOVA, Mixed-Effects Model
      • 6회차: 대응분석 (correspondence analysis), 다차원척도법 (multidimensional scaling)

      2023 LSK-시몬느 언어학 학교

      • 교장단
        • 교장: 김종복 (학회장, 경희대)
        • 명예교장: 박은관 (시몬느 회장), 이민행 (연세대)
      • 조직위원회
        • 공동위원장: 박동우 (한국방송통신대), 신효필 (서울대)
        • 위원: 류병래 (충남대), 박분주 (대구가톨릭대), 엄홍준 (계명대), 이선영 (사이버한국외대), 장경철 (부산대), 장세은 (한국해양대), 최혜원 (이화여대), 한 호 (아주대)
      • 프로그램위원회
        • 위원장: 이한정 (성균관대), 한수미 (한림대)
        • 위원: 고희정 (서울대), 권연진 (부산대), 김일규 (강원대), 문숙영 (서울대), 박시균 (군산대), 이두원 (한국교통대), 이성헌 (서울대), 이정미 (서울대), 이정훈 (서강대), 최영주 (조선대)
      • 팜플렛 보기/내려받기
 

한국 현대언어학의 설계자들

한국 현대언어학의 뿌리 찾기는 2021년-2022년 한국언어학회의 중점 사업 중의 하나입니다. 이 사업은 한국의 현대언어학을 이끌어 온 원로 교수님을 모시고 한국언어학회의 역사를 되돌아 보고 앞으로 한국언어학회가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는 기획 의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한국 현대언어학의 발전에 큰 발자취를 남기신 원로 교수님과의 인터뷰를 여기에서 볼 수 있습니다.

제1부 장석진 교수님과의 대화

  • 장석진 교수님
    •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UIUC) 언어학과 박사 (1972)
    • 한국언어학회 창립 회원/초대 회장
    • 미국 하버드대학교, 스탠퍼드대학교 객원교수
    •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1994-(현재)),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현)
  • 일시: 2021년 5월 20일 (목)
  • 장소: 대한민국 학술원
  • 대담: 김종복 교수 (경희대)

제2부 김진우 교수님과의 대화

  • 김진우 교수님
    • 미국 UCLA 언어학과 박사 (1966)
    • 미국 일리노이대학교 (UIUC) 언어학과 교수
    • 국제한국언어학회 (ICKL) 창립 회원/회장
    • 국제언어인문학회 (InAHSL) 창립 회원/회장
    • Lingua 편집위원
    • KBS해외동포상 (2002), 동숭학술상 (2008), 외솔상 (2011) 등 수상
  • 일시: 2021년 6월 29일 (화)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이장송 교수 (육군사관학교)

제3부 이기용 교수님과의 대화

  • 이기용 교수님
    •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언어학과 박사 (1971)
    • 전북대학교 영문과 조교수, 부교수, 중앙대학교 외국어교육학과 부교수
    • 고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언어학과 교수 (1982-2002)
    • Stanford 대학교 CSLI 방문학자
    • 한국언어학회 회장 (1990-1992, 제8대)
    • 대한민국 학술원상 (2002), 오이겐 뷔스터 특별상 (2006), 대한민국 화관 문화훈장 (2016) 등 수상
  • 일시: 2021년 8월 18일 (수)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윤애선 교수 (부산대)

제4부 이홍배 교수님과의 대화

  • 이홍배 교수님
    • 미국 Brown University 언어학과 박사 (1970)
    • 육군사관학교 교수 (1970-1982)
    • 서강대학교 영문과 교수 (1983-2004)
    • 한국언어학회 회장 (1996-1998, 제11대)
  • 일시: 2021년 12월 28일 (수)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이원빈 교수 (대전대)

제5부 박병수 교수님과의 대화

  • 박병수 교수님
    • 1963 경희대학교 영어영문학과 학사
    • 1971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
    • 1972 미국 피츠버그대학교 박사 (언어학)
    • 경희대학교 영문과 교수 (1973-2004)
    • 국제한국언어학회 회장 (1996-1998)
    •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 (1996-1998)
    • 한국언어학회 제13대 회장 (2000-2002)
    • 한국영어학학회 회장 (2003-2005 )
    • 2018 인명록 The Marquis Who's Who In the World 에 등재
  • 일시: 2022년 2월 17일 (목)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임경섭 교수 (동신대)

제6부 이익환 교수님과의 대화

  • 이익환 교수님
    • 1968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학사 (영어교육)
    • 1971 서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영어교육)
    • 미국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언어학 박사 (1971)
    • 중앙대학교 교수 (1979-1981)
    • 연세대학교 영문과 교수 (1981-2008)
    • 상명대학교 석좌교수 (2008-2014)
    • 연세대학교 문과대학 학장 (2002-2004)
    • 한국언어학회 제14대 회장 (2002-2004)
    • 국제언어학자회의 부회장 (2015-현재)
    • 연세대학교 연구업적우수교수상, 연세대학교 최우수강의교수상, 서울대학교 사범대학동창회 자랑스런 동문상 등 수상
  • 일시: 2022년 3월 26일 (토)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지인영 교수 (한국체대)

제7부 홍재성 교수님과의 대화

  • 홍재성 교수님
    • 1968 서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문학사)
    • 1970 서울대학교 대학원 불어불문학과 (문학 석사)
    • 1982 파리 제7대학교 대학원 언어학과 (언어학 박사)
    • 연세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전임강사-교수 (1975-88)
    • 파리 7대학 동양학부 외국인 전임강사
    • 서울대학교 인문대학 불어불문학과 부교수-교수 (1988-2011)
    • 한국언어학회 회장 (2006-08)
    •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2007-현재 )
    • 제18차 세계언어학자대회(CIL18) 공동조직위원장(이익환, 홍재성) (2008)
    • 프랑스 학술공로훈장 (1995년), 제22회 외솔상 (2000년) 등 수상
  • 일시: 2022년 8월 27일 (토)
  • 장소: 연세대학교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이성헌 교수 (서울대)

제8부 이정민 교수님과의 대화

  • 이정민 교수님
    • 1959-63 서울대학교 영어영문학과 (문학사)
    • 1964-68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영어학 석사)
    • 1967-73 미국 Indiana University (at Bloomington) 대학원 (언어학 박사)
    • 1974-2005 서울대학교 인문대 언어학과 조교수-교수
    • 1988-92 한국언어정보학회 회장
    • 1994-96 한국인지과학회 회장
    • 2001-03 한국심리언어학회 회장
    • 2005-현재 서울대학교 명예교수
    • 2014-현재 대한민국 학술원 회원
  • 일시: 2022년 10월 1일 (토)
  • 장소: 서울대학교 신양인문학술정보관 405-1호
  • 대담: 남승호 교수 (서울대)

제9부 최재웅 교수님과의 대화

  • 최재웅 교수님
    • 1973-77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과 (문학사)
    • 1977-79 서울대학교 대학원 (영어학 석사)
    • 1982-87 미국 매사추세츠대 대학원 (언어학 박사)
    • 1987-91 숭실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조교수
    • 1991-2019 고려대학교 언어학과 교수
    • 2019-현재 고려대학교 명예교수
  • 일시: 2022년 11월 26일 (토)
  • 장소: 연세대 외솔관 문과대학 교수회의실
  • 대담: 김광섭 교수 (한국외국어대)

 

The Regular Winter Conference of LSK

The Regular Winter Conference of LSK (Linguistic Society of Korea)
December 9, 2023
Kyung Hee University



한국언어학회 회원님들께,

한국언어학회 2023년 겨울학술대회가 ‘AI 시대의 언어 사용과 분석, 그리고 연구방법론(Language Uses, Analys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 the AI Era)’이라는 주제로 12월 9일(토) 경희대학교에서 개최될 예정입니다.

Plenary speaker

  • Dr. Ira Noveck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Isolating the pragmatic contribution of utterances and even words

Invited speakers

  • Dr. Hiromu Sakai (Waseda University): Neural representation of semantic concepts revealed by MEG
  • Dr. Shirley Dita (De La Salle University): Tagalog response system: issues and challenges
  • Dr. Shu-ing Shyu (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Kaohsiung): Mandarin Ye: Additivity or Scalarity?

주요 일정

  • 11 Sept - 27 Oct 2023 Abstract submission (Extended)
  • 6 Nov 2023 Notification of acceptance
  • 9 Dec 2023 Conference

초록제출 및 문의사항

  • 초록제출 및 학술대회 관련 문의사항은 아래의 e-mail로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한국언어학회 (lsk202324@gmail.com 혹은 권익수 (조직위원회 위원장, kwoniks@hufs.ac.kr)

회원 여러분들의 많은 참여를 부탁드립니다.

-한국언어학회 드림-





Dear Colleagues,

It is our great pleasure to announce that the regular LSK winter conference will be held at Kyung Hee University, Seoul, on 9 December 2023. Its theme is “Language uses, analyses, and research methodologies in the era of A.I.” and it also features a session of Asian language studies with invited speakers from Japan, Philippines, and Taiwan. We welcome to the academic fest abstracts for papers on the relevant aspect of linguistic analyses and methodologies with special focus on AI-related linguistic studies as well as general linguistic studies. The details are as follows:

Plenary speaker

  • Dr. Ira Noveck (Centre national de la recherche scientifique (CNRS)): Isolating the pragmatic contribution of utterances and even words

Invited speakers

  • Dr. Hiromu Sakai (Waseda University): Neural representation of semantic concepts revealed by MEG
  • Dr. Shirley Dita (De La Salle University): Tagalog response system: issues and challenges
  • Dr. Shu-ing Shyu (National Sun Yat-sen University, Kaohsiung): Mandarin Ye: Additivity or Scalarity?

Important Dates

  • 11 Sept - 27 Oct 2023 Abstract submission (Extended)
  • 6 Nov 2023 Notification of acceptance
  • 9 Dec 2023 Conference

Contact Information

Sincerely yours,
Iksoo Kwon
On behalf of the organizing committee

 

Young Scholar Symposium

LSK Young Scholar Symposium
December 8, 2023
Korea University



2021년에 이어, LSK Young Scholar Symposium을 아래와 같이 개최하고자 합니다.

일시 및 장소

  • 2023년 12월 8일 오후 2시 - 5시30분
  •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서관

대상

  • 언어학 분야 학부생 및 대학원생 (지도교수님과 함께 발표하시는 내용이어도 됩니다.)

프로그램

  1. 언어학 전공 학생을 위한 논문 작성 및 투고요령 특강
    • 연사: 오은정 교수님(상명대학교)
    • 오후 2시 - 3시20분
    • 장소: 서관 132
  2. 포스터 발표
    • 오후 3시 40분 - 5시 10분
    • 장소: 서관 314B
    • 코멘터 교수님:
      이주경 (서울시립대, 음성음운론)
      윤수연 (충남대, 음성음운론)
      윤수원 (서울시립대, 의미화용론)
      강아름 (충남대, 의미화용론)
      김나연 (성균관대, 통사론/심리언어학)
      오은정 (상명대, 통사론/언어습득)
      김정수(인천대, 통사론/코퍼스언어학)
      이상아(서울대, 전산언어학)

발표 신청 절차

  • 10월 31일까지 구글 서베이를 통해 발표자, 발표제목 제출 (https://forms.gle/fhmBigdmvs7qaPvJ9)
  • 11월 30일까지 초록 제출 (추후 개별 연락)
  • 12월 8일 특강 및 포스터 발표(포스터 크기 등에 대해서는 추후 개별 연락)
  • 발표 이후 한국언어학회 명의의 증명서가 발급될 예정입니다.

주최: 한국언어학회
후원: 인문사회 디지털 융합인재양성사업단, 한국연구재단

프로그램위원장: 송상헌(sanghoun@korea.ac.kr)
준비간사: 이예빈(yblee1018@korea.ac.kr)

 

LSK | 한국언어학회
  • 회장: 김종복 (경희대학교)
  • 총무이사: 박동우 (한국방송통신대학교)
  • 재무이사: 이주원 (전주대학교)
  • 편집위원장: 오은진 (이화여자대학교)
사무국
  • [우편번호: 02447]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경희대학교, 네오르네상스관
    언어정보연구소
  • Phone: +82-2-961-0211
  • Email: lsk202324@gmail.com
재무국 및 학회 계좌
  • [학회 계좌]
    우리은행 1002-363-787147
    (예금주: 이주원, 한국언어학회)
  • Phone: +82-2-2123-2348
  • Email: juwonlee@jj.ac.kr
편집위원회
  • [우편번호: 03760] 서울 서대문구 이화여대길 52,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오은진 교수 연구실
  • Phone: +82-2-3277-3357
  • Email: ejoh@ewha.ac.kr